반응형
뭉게구름
명사 지구 수직운의 하나. 뭉게뭉게 피어올라 윤곽이 확실하게 나타나는 구름으로, 밑은 평평하고 꼭대기는 솜을 쌓아 놓은 것처럼 뭉실뭉실한 모양이며 햇빛을 받으면 하얗게 빛난다. 무더운 여름에 상승 기류로 말미암...
유의어산봉우리구름 쌘구름 적운
표준국어대사전
뜬구름
1.
명사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
2.
명사 덧없는 세상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유의어부운 부평전봉 부평초
[뜬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먹구름
1.
명사 몹시 검은 구름.
2.
명사 어떤 일의 좋지 않은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유의어먹장구름 암운 오운4반의어서광4 서기8
[먹꾸름]
표준국어대사전
꽃구름
명사 여러 가지 빛을 띤 아름다운 구름.
유의어채운
[꼳꾸름]
표준국어대사전
비구름
명사 지구 구름의 유형을 분류할 때 사용하는 이름의 하나. 비나 눈을 내리게 하는 구름을 이른다.
유의어난운1
발음듣기
표준국어대사전
먹장구름
명사 먹빛같이 시꺼먼 구름.
유의어먹구름 암운 오운4
[먹짱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새털구름
명사 지구 푸른 하늘에 높이 떠 있는 하얀 섬유 모양의 구름. 높이 5~13km 사이, 기온 영하 20℃ 이하인 곳에 나타난다. 빙정(氷晶)이 모여 생긴 것으로서 해나 달 주위에 끼면 무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기호는 Ci.
유의어권운 털구름
[새ː털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안개구름
명사 지구 하층운의 하나. 지평선과 나란히 층상(層狀)을 이루며, 높이 0~2km에 분포한다. 안개처럼 땅 위에 가장 가까이 층을 이루는데, 비가 올 때의 산간 지대나 맑은 날 이른 아침의 평야 지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유의어층구름 층운
[안ː개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양떼구름 羊떼구름
명사 지구 높은 하늘에 크고 둥글둥글하게 덩어리진 구름. 보통 2~7km 높이에 나타나며 권적운에 비하여 하나하나의 구름 덩어리가 크다. 기호는 Ac.
유의어고적운 높쌘구름 적권운
표준국어대사전
매지구름
명사 비를 머금은 검은 조각구름.
[매ː지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오색구름 五色구름
명사 여러 가지 빛깔로 빛나는 구름. 고적운 따위에서 태양에 가까운 가장자리 부분이 회절(回折) 현상에 의하여 아름답게 물들어 보이는 것이다.
유의어오운1
[오ː색꾸름]
표준국어대사전
층운형 구름 層雲形구름
지구 수평으로 잘 퍼진 구름의 층. 또는 연속해 있지는 아니하지만 층상으로 된 구름.
유의어층상운
표준국어대사전
소나기구름
명사 지구 적운보다 낮게 뜨는 수직운. 위는 산 모양으로 솟고 아래는 비를 머금는다. 물방울과 빙정(氷晶)을 포함하고 있어 우박, 소나기, 천둥 따위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기호는 Cb.
유의어소낙구름 소낙비구름 쌘비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오르트의 구름 Oort의구름
천문 혜성의 발생원(發生源). 1950년에 네덜란드 천문학자 오르트가 그 존재를 설명한 것으로, 태양에서 수만 천문단위의 공간에 있다고 추정한다.
유의어오르트의혜성운
표준국어대사전
오르트의 구름 Oort의구름
천문 혜성의 발생원(發生源). 1950년에 네덜란드 천문학자 오르트가 그 존재를 설명한 것으로, 태양에서 수만 천문단위의 공간에 있다고 추정한다.
유의어오르트의혜성운
표준국어대사전
눈구름
1.
명사 눈과 구름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명사 눈을 내리거나 머금은 구름.
[눈ː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두루마리구름
1.
명사 지구 하층운의 하나. 두꺼운 덩어리로 된 구름이 층을 이룬 모양으로,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다. 낮에는 구름 ...
2.
명사 지구 롤빵이나 털실을 꼬아 감은 것 같은 모양의 구름.
유의어롤운 층쌘구름 층적운
표준국어대사전
쌘구름
명사 지구 수직운의 하나. 뭉게뭉게 피어올라 윤곽이 확실하게 나타나는 구름으로, 밑은 평평하고 꼭대기는 솜을 쌓아 놓은 것처럼 뭉실뭉실한 모양이며 햇빛을 받으면 하얗게 빛난다. 무더운 여름에 상승 기류로 말미암...
유의어뭉게구름 산봉우리구름 적운
표준국어대사전
솜구름
명사 ‘적운’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유의어적운
[솜ː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실구름
명사 실같이 가늘고 긴 구름.
[실ː구름]
표준국어대사전
탑구름 塔구름
명사 지구 탑 모양으로 머리 부분이 높이 올라간 구름. 뇌우가 일어나기 쉽다.
유의어탑상운
표준국어대사전
털구름
명사 지구 푸른 하늘에 높이 떠 있는 하얀 섬유 모양의 구름. 높이 5~13km 사이, 기온 영하 20℃ 이하인 곳에 나타난다. 빙정(氷晶)이 모여 생긴 것으로서 해나 달 주위에 끼면 무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기호는 Ci.
유의어권운 새털구름 층쌘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열구름
명사 지나가는 구름.
유의어행운1
표준국어대사전
겹구름
명사 비슷한 모양의 것이 여러 개 겹쳐 있는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띠구름
명사 띠처럼 기다랗게 떠 있는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놀구름
명사 붉게 노을이 진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물구름
명사 지구 얼음이 아닌 물방울로 이루어진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층구름 層구름
명사 지구 하층운의 하나. 지평선과 나란히 층상(層狀)을 이루며, 높이 0~2km에 분포한다. 안개처럼 땅 위에 가장 가까이 층을 이루는데, 비가 올 때의 산간 지대나 맑은 날 이른 아침의 평야 지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유의어안개구름 층운
표준국어대사전
떼구름
명사 떼를 이룬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모루구름
명사 적란운의 윗부분에 나타나는 모루 또는 나팔꽃 모양의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이중 구름 二重구름
지구 구름의 변종의 하나. 높이의 차가 적은 구름의 층이나 점 모양의 구름이 겹쳐져 있는 구름을 이른다.
유의어이중운
표준국어대사전
전자구름 電子구름
명사 전기·전자 원자, 분자 안에 있는 전자의 공간적 분포 상태를 구름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전자의 파동 함수의 제곱에 비례하는 밀도 분포가 된다.
유의어전자운 전하운 전해운
표준국어대사전
먼지구름
명사 구름처럼 뽀얗게 일어나는 흙먼지.
표준국어대사전
꼬리구름
명사 지구 내리는 비가 땅에 닿기 전에 증발하여, 마치 꼬리를 끄는 것처럼 보이는 구름.
유의어미류운
표준국어대사전
비층구름 비層구름
명사 지구 오랜 시간 계속 비나 눈을 내리는 검은 회색의 두꺼운 구름. 높이 2~7km에 분포하며 온 하늘을 뒤덮는다. 기호는 Ns.
유의어난층운
표준국어대사전
렌즈구름 lens구름
명사 지구 렌즈 또는 비행선 모양을 이룬 구름. 구름의 가장자리가 뚜렷하고 때로는 무지개처럼 물든 채운(彩雲)이 나타난다. 바람이 강하고 개기 시작할 때 많이 생긴다.
유의어협상운
표준국어대사전
물결구름
명사 지구 고적운이나 층적운의 하나. 물결 모양으로 위아래로 겹쳐 이어져 있다.
유의어파상운
표준국어대사전
소낙구름
명사 지구 ‘소나기구름’의 준말.
표준국어대사전
하층 구름 下層구름
지구 지상 2km 이내의 공중에 있는 구름. 층적운, 층운 따위가 있다.
유의어밑턱구름 하층운
표준국어대사전
자개구름
명사 지구 20~30km 높이에서 나타나는 진주색 구름. 고위도 지방에서 일출ㆍ일몰 때에 볼 수 있다.
유의어진주구름 진주모운 진주운
표준국어대사전
조각구름
명사 여러 개의 조각으로 흩어져 있는 구름.
유의어단운 편운
[조각꾸름]
표준국어대사전
벌집구름
명사 지구 벌집처럼 생긴 구름. 권적운, 고적운과 같은 비교적 얇은 구름에 둥근 구멍이 많이 뚫려서 생긴다.
표준국어대사전
토막구름
명사 지구 난층운이나 적란운이 조각난 것. 흔히 비나 눈이 내리는 전후에 나타난다.
유의어편난운
표준국어대사전
털층구름 털層구름
명사 지구 온 하늘을 뒤덮은 엷고 흰 면사포 모양의 구름. 높이 5~13km 사이에 나타나며 햇무리, 달무리를 잘 일으킨다.
유의어권층운 면사포구름 햇무리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높쌘구름
명사 지구 높은 하늘에 크고 둥글둥글하게 덩어리진 구름. 보통 2~7km 높이에 나타나며 권적운에 비하여 하나하나의 구름 덩어리가 크다. 기호는 Ac.
유의어고적운 양떼구름 적권운
표준국어대사전
원자구름 原子구름
명사 핵폭발 직후에 생기는 거대한 버섯 모양의 구름.
유의어버섯구름 원자운 원폭운
표준국어대사전
송이구름
명사 지구 작은 꽃술 또는 잡풀 같은 모양을 한 구름 덩어리. 주로 권운, 권적운, 고적운 따위에 나타난다.
표준국어대사전
나비구름
명사 날아가는 나비의 날개처럼 펼쳐진 구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중층 구름 中層구름
지구 상층운과 하층운의 중간 높이에 있는 구름. 2~7km 높이에 떠 있는 구름으로 균일한 구름층이나 흰 덩어리로 되어 있다. 고적운, 고층운, 난층운이 이에 속한다.
유의어중층운
표준국어대사전
털쌘구름
명사 지구 높은 하늘에 그늘이 없는 희고 작은 구름 덩이가 촘촘히 흩어져 나타나는 구름. 높이 5~13km 사이에 나타난다. 구름을 통하여 해나 달의 위치를 알 수 있을 만큼 엷다. 기호는 Cc.
유의어권적운 비늘구름 조개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중방구름 中枋구름
명사 산에 중인방 모양으로 걸려 있는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비늘구름
명사 지구 높은 하늘에 그늘이 없는 희고 작은 구름 덩이가 촘촘히 흩어져 나타나는 구름. 높이 5~13km 사이에 나타난다. 구름을 통하여 해나 달의 위치를 알 수 있을 만큼 엷다. 기호는 Cc.
유의어권적운 조개구름 털쌘구름
[비늘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당태구름 唐태구름
명사 당태솜 같은 모양의 뭉게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장어구름 長魚구름
명사 모양이 길고 빛깔이 몹시 검은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쌘비구름
명사 지구 적운보다 낮게 뜨는 수직운. 위는 산 모양으로 솟고 아래는 비를 머금는다. 물방울과 빙정(氷晶)을 포함하고 있어 우박, 소나기, 천둥 따위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기호는 Cb.
유의어소나기구름 소낙비구름 적란운
표준국어대사전
오리구름
명사 실낱같이 가늘게 퍼진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증기구름 蒸氣구름
명사 많은 증기가 한꺼번에 위로 치솟아 엉켜 떠 있는 것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진주구름 眞珠구름
명사 지구 20~30km 높이에서 나타나는 진주색 구름. 고위도 지방에서 일출ㆍ일몰 때에 볼 수 있다.
유의어자개구름 진주모운 진주운
표준국어대사전
연기구름 煙氣구름
명사 지구 연기 모양의 매우 엷은 구름. 위도가 낮은 지방이나 더운 날씨에 끼는데 높이는 일정하지 않다.
유의어연상운
표준국어대사전
층쌘구름 層쌘구름
명사 지구 하층운의 하나. 두꺼운 덩어리로 된 구름이 층을 이룬 모양으로,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다. 낮에는 구름 꼭대기가 발달하여 적운이 되었다가 저녁 무렵이 되면 약해진다. 기호는 Sc.
유의어두루마리구름 층적운 털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과 관련된 속담, 관용구 (0) | 2022.02.11 |
---|---|
구름과 관련된 속담, 관용구 (0) | 2022.02.11 |
꽃과 관련된 속담,관용구 (0) | 2022.02.11 |
바람의 종류 (0) | 2022.02.11 |
남과 관련된 속담, 관용구 (0) | 2022.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