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바로 쓰기

술과 관련된 속담,관용구

by 토토의 일기 2022. 2. 11.
반응형





관용구
관용구 술이 길다 → 술1
구 주량이 커서 한번 마시기 시작하면 계속 마시려고 하는 성질이 있다.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술을 치다 → 술1
구 술을 잔에 따라 붓다.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술이 사람을 먹다 → 술1
구 술에 몹시 취하다.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술이 술을 먹는다 → 술1
(사람이) 취할수록 자꾸 술을 더 마시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관용구 술에 먹히다 → 술1
(사람이) 정신을 잃을 정도로 술에 몹시 취하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관용구 술에 감기다 → 술1
(사람이) 술이 몹시 취하여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관용구 술이 술을 먹다
취할수록 자꾸 더 술을 마시다.

우리말샘


속담

속담 물에 물 탄 듯 술에 술 탄 듯 → 물1

1.
구 주견이나 주책이 없이 말이나 행동이 분명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구 아무리 가공을 하여도 본바탕은 조금도 변하지 않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에 술 탄 듯 물에 물 탄 듯 → 술1

1.
구 주견이나 주책이 없이 말이나 행동이 분명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구 아무리 가공을 하여도 본바탕은 조금도 변하지 않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에 술 탄 이 → 술1

구 술에 물을 타서 아무 맛도 없게 만든 맹물과 같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성격이나 품성 같은 것이 뜨뜻미지근하여 똑똑지 않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 샘 나는 주전자 → 술1

구 술이 끊임없이 샘솟아 나는 주전자라는 뜻으로, 전혀 현실 가능성이 없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 익자 체 장수[장사] 간다 → 술1

구 술이 익어 체로 걸러야 할 때에 마침 체 장수가 지나간다는 뜻으로, 일이 공교롭게 잘 맞아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 먹은 개 → 술1

구 정신없이 술에 취해 행동을 멋대로 하는 사람을 비꼬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반 잔 술에 눈물 나고 한 잔 술에 웃음 난다 → 반5

구 남에게 이왕 무엇을 주려거든 흡족하게 주어야지 그렇지 못하면 도리어 인심을 잃게 된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열의 한 술 밥이 한 그릇 푼푼하다 → 열3

구 열 사람이 한 술씩 보태서 밥 한 그릇을 만든다는 뜻으로, 여럿이 각각 조금씩 도와주어 큰 보탬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에 물 탄 이 → 술1

구 술에 물을 타서 아무 맛도 없게 만든 맹물과 같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성격이나 품성 같은 것이 뜨뜻미지근하여 똑똑지 않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에 물 탄 것 같다 → 술1

구 술에 물을 타서 아무 맛도 없게 만든 맹물과 같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성격이나 품성 같은 것이 뜨뜻미지근하여 똑똑지 않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헌 체로 술 거르듯 → 헌

구 말을 막힘없이 술술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한 잔 술에 눈물 난다 → 한1

구 사람의 감정은 사소한 일에 차별을 두는 데서도 섭섭한 생각이 생길 수 있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 사 주고 뺨 맞는다 → 술1

구 술을 받아서 대접해 주고는 오히려 뺨을 맞는다는 뜻으로, 남을 잘 대접하고 나서 오히려 그에게 해를 입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 취한 놈 달걀 팔듯 → 술1

구 일하는 솜씨가 거칠고 어지러운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 받아 주고 뺨 맞는다 → 술1

구 술을 받아서 대접해 주고는 오히려 뺨을 맞는다는 뜻으로, 남을 잘 대접하고 나서 오히려 그에게 해를 입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은 괼 때 걸러야 한다 → 술1

구 술은 한창 괼 때 걸러야 맛이 있다는 뜻으로, 일을 할 때는 제때를 놓치지 말라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공술에 술 배운다 → 공술1

구 술이라는 것은 처음에는 남의 권유에 못 이겨 마시다가 배우게 된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초장 술에 파장 매 → 초장4

구 첫판에 까불고 덤비다가는 끝판에 가서 낭패를 본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한 밥그릇에 두 술이 없다 → 한1

구 한 남편에게는 한 아내만 있어야 한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얻어 온 장 한 술 더 뜬다 → 얻다1

북한어 제게 없어서 겨우 얻어다 놓은 것을 눈치 없이 축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남의 술에 삼십 리 간다 → 남1

구 자기는 하고 싶지 아니한 일을 남의 권유에 따라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 취한 사람 사촌 집 사 준다 → 술1

구 술 취한 사람이 뒷감당도 못할 호언장담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한 잔 술에 눈물 나고 반 잔 술에 웃음 난다 → 한1

구 사람을 사귐에 있어서 서로 대하는 태도나 방법에 따라 섭섭하여지기도 하고 기분이 좋아지기도 한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박한 술이 차보다 낫다 → 박14

구 없을 때는 좋지 않은 것이라도 낫게 여긴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과 안주를 보면 맹세도 잊는다 → 술1

구 술을 즐기는 사람은 술을 보면 안 먹고는 못 배긴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싫은 밥은 있어도 싫은 술은 없다 → 싫다

구 술을 몹시 좋아하는 사람이 술이 최고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보리로 담근 술 보리 냄새가 안 빠진다 → 보리1

1.
구 제 본성은 그대로 지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구 근원이 좋으면 결과도 좋고 근원이 나쁘면 결과도 나쁘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사후 술 석 잔 말고 생전에 한 잔 술이 달다 → 사후1

1.
구 죽은 다음에 제사상에 이것저것 차리지 말고 살아 있는 동안에 한 가지라도 더 대접하라는 말.

2.
구 눈앞에 부닥친 현실 문제를 해결하여 주는 것이 일이 다 틀어진 뒤에 쓸데없는 공을 들이며 애쓰는 것보다 중...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겉보리 술 막치 사람 속인다 → 겉보리

구 겉보리 술지게미도 많이 먹으면 취하듯이, 겉보기와는 달리 맹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을 먹으면 사촌한테 기와집도 사 준다 → 술1

구 술 취한 사람이 뒷감당도 못할 호언장담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은 어른 앞에서 배워야 점잖게 배운다 → 술1

구 술은 윗사람과 함께 마시기 시작해야 나쁜 술버릇이 생기지 않는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 취한 사람과 아이는 거짓말을 안 한다 → 술1

구 술 취한 사람이 속에 품은 생각을 거짓 없이 말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외모는 거울로 보고 마음은 술로 본다 → 외모2

구 술이 들어가면 본심을 털어놓고 이야기함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 담배 참아 소 샀더니 호랑이가 물어 갔다 → 술1

구 돈을 모으기만 할 것이 아니라 쓸데는 써야 한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동성아주머니 술도 싸야 사 먹지 → 동성아주머니

구 아무리 친근한 사이라도 이익이 있어야 관계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은 해장에 망하고 투전은 본전 추다 망한다 → 술1

구 술꾼은 해장술을 마신다며 자꾸 술을 마시다 몸을 버리고, 투전꾼은 본전이나 찾는다며 계속 노름을 하다가 재산을 탕진하게 된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술이 아무리 독해도 먹지 않으면 취하지 않는다 → 술1

구 실제로 어떤 일을 하지 않으면 아무 결과도 나타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무식하고 돈 없는 놈 술집 담벼락에 술값 긋듯 → 무식

구 외상술을 먹고 글자를 몰라 술집 담벼락에 작대기를 그어 술값을 적듯이 작대기를 자꾸 그어 감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나쁜 술 먹기는 정승 하기보다 어렵다 → 나쁘다2

구 음식 가운데에 특히 술은 배에 차지 아니하게 알맞게 먹기가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당나귀 새낀가 보다 술 때 아는 걸 보니 → 당나귀

구 술 잘 먹는 사람이 술 먹을 때를 용하게 알아서 오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밥 한 술에 힘 되는 줄은 몰라도 글 한 자에 힘이 된다 → 밥1

북한어 밥을 한두 끼 잘 먹었다고 크게 몸이 좋아지지는 않으나 글을 한두 자 더 배우면 그만큼 정신적인 양식이 늘어난다는 뜻으로, 배우는 것이 힘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처음에는 사람이 술을 마시다가 술이 술을 마시게 되고 나중에는 술이 사람을 마신다 → 처음

구 술을 몸에 맞게 먹으라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중매는 잘하면 술이 석 잔이고 못하면 뺨이 세 대라 → 중매1

1.
구 혼인은 억지로 권할 일은 못 된다는 말.

2.
구 중매는 함부로 할 일이 못 되며 신중히 잘해야 함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아전의 술 한 잔이 환자(還子)가 석 섬이라고 → 아전4

구 관리에게 조금이라도 신세를 지게 되면 그 몇 곱으로 갚아야 함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주정뱅이는 상감님 망건 살 돈도 술 사 먹는다 → 주정뱅이

북한어 술에 미친 자는 감히 건드릴 수 없는 돈조차도 빼내어 술을 사 먹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수풀엣 꿩은 개가 내몰고 오장엣 말은 술이 내몬다 → 수풀

구 수풀에 숨은 꿩은 개가 찾아내서 내몰지만 사람이 마음속에 품은 생각은 술에 취하면 나온다는 뜻으로, 술이 들어가면 마음속에 있는 것을 모두 말해 버리게 된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거지가 밥술이나 먹게[뜨게] 되면 거지 밥 한 술 안 준다 → 거지1

구 가난하게 살던 사람이 좀 형편이 나아지면 도리어 어려운 사람을 생각할 줄 모른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흰 술은 사람의 얼굴을 누르게 하고 황금은 사람의 마음을 검게 한다 → 희다

구 술과 돈은 사람에게 해가 될 수 있으니 경계하여야 한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하루 화근은 식전 취한 술이요, 일 년 화근은 발에 끼는 갖신이요, 일생 화근은 성품 고약한 안해라 → 하루1

북한어 식전 아침부터 술을 마시면 하루 종일 정신이 맑지 못하고, 발에 맞지 아니하는 신은 그 신이 해어질 때까지 고통을 주며, 성품이 나쁜 아내를 맞으면 평생 동안 고생하게 된다는 뜻으로, 성품이 나쁜 아내를 얻지 아...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먹던 술도 떨어진다 → 먹다1

늘 하던 숟가락질도 잘못하여 간혹 숟가락을 떨어뜨리는 수가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잘 살피고 조심하여 잘못이 없도록 하라는 말.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술 덤벙 물 덤벙 → 술1

물과 술을 가리지 않고 뛰어든다는 뜻으로, 매사에 경거망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상두 술에 낯내기 → 상두2

남의 것을 가지고 제 생색을 낸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상두 술로 벗 사귄다 → 상두2

남의 술로 제 벗을 대접하여 사귄다는 뜻으로, 남의 것을 가지고 제 체면을 세우는 사람을 이르는 말. (=곁집 잔치에 낯을 낸다, 곗술에 낯내기, 남의 팔매에 밤 줍는다, 남 지은 글로 과거한다, 제삿술 가지고 친구...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성급한 놈 술값 먼저 낸다 → 성급하다2

성급한 사람은 술을 얼마나 먹을지도 모르면서 술값 먼저 치른다는 뜻으로, 성미가 급한 사람이 손해를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초상집 술에 권주가 부른다 → 초상집

때와 장소를 분별하지 못하고 경망스럽게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술 익자 체 장수〔장사〕 간다 → 술1

술이 익을 때에 술을 거르는 데 필요한 체를 파는 장수가 지나간다는 뜻으로, 일이 공교롭게 제대로 잘 맞아 가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문턱 높은 집에 무종아리 긴 며느리 생긴다, 주인집 장 떨어지자 나...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죽어 석 잔 술이 살아 한 잔 술만 못하다 → 죽다

죽은 뒤에 아무리 정성을 들여도 살아 있을 때 조금 위해 준 것보다 못하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술값보다 안줏값이 더 비싸다 → 술값

어떤 일에 있어서 주가 되는 것보다 그에 딸린 것이 더 크거나 많음을 이르는 말. (=고추장이 밥보다 많다, 기둥보다 서까래가 더 굵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 본말전도(本末顚倒), 산보다 골이 더 크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술 먹여 놓고 해장 가자 부른다 → 술1

일을 방해하거나 해를 입히고서 그 뒤에 도와주는 체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병 주고 약 준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술은 첫물에 취하고 사람은 훗물에 취한다 → 술1

1.
술은 처음 마실 때부터 취하기 시작하나 사람은 한참 사귀고 나서야 친해질 수 있다는 말.

2.
남자는 전처보다 후처에 더 혹한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아주머니 떡〔술〕도 싸야 사 먹는다 → 아주머니

아무리 친근하게 지내는 사이라도 결국은 제 잇속을 따지게 된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이태백이가 돈 가지고 술 먹었다던 → 이태백

술을 마셔서 돈의 낭비가 심하다는 말에 반발하여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처음에는 사람이 술을 먹고 나중에는 술이 사람을 먹는다 → 처음

1.
술을 적당히 마셔야지 지나치게 많이 마시면 몸을 해치게 된다는 말. (=적게 먹으면 약주요 많이 ...

2.
술에 취하면 마시는 사람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계속 마시게 된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아전의 술 한 잔이 환자가 석 섬이라고 → 아전1

관리로부터 작은 신세를 지면 그 몇 곱으로 갚아야 함을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더운술을 불고 마시면 코끝이 붉어진다 → 더운술

술을 불고 마시지 말라고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중매는 잘하면 술이 석 잔이고 못하면 뺨이 석 대라 → 중매1

1.
혼인은 억지로 권할 일이 아니라는 말.

2.
중매를 설 때는 신중해야 한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술은 백약의 장(長)

술은 알맞게 마시면 어떤 약보다도 몸에 가장 좋은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속담 하루 화근은 식전 취한 술

이른 아침부터 술을 마시지 말라고 경계하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속담 메주(를) 먹고 술 트림 한다

앞뒤가 전혀 들어맞지 않는 엉뚱한 노릇을 함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속담 아주머니 떡[술]도 싸야 사 먹지

아무리 친근한 사이라도 이익이 있어야 관계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동성아주머니 술도 싸야 사 먹지’ ‘아주머니 떡도 커야 사 먹는다’ ‘할아버지 떡도 커야 사 먹는다’

우리말샘

속담 술이 들어가면 지혜는 달아난다 → 술

술을 자꾸 마시면 그만큼 머리가 나빠진다는 말.

우리말샘

속담 웃어른 모시고 술을 배워야 점잖은 술을 배운다

술은 윗사람 앞에서 배워야 예절 바르게 마시는 좋은 술버릇을 붙이게 됨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들 관련된 속담,관용구  (0) 2022.02.11
연기와 관련된 속담  (0) 2022.02.11
친구와 관련된 말  (0) 2022.02.11
발과 관련된 속담, 관용구  (0) 2022.02.11
형제와 관련된 속담, 관용구  (0) 2022.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