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경상감영공원 3월초 매화꽃 개화 모습, 귀한 납매도 보실 수 있어요.
대구역에서도 걸어서 갈 수 있는 대구 중심가의 경상감영공원. 경상감영은 조선시대 경상도를 관할하던 관청(감영)이다. 현대의 도청과 같은 역할을 했다. 현재는 경상감영공원으로 공원화되어 있다.
3월초 어느 날
바람 불고 햇살 맑은 날
매화꽃을 보러 경상감영공원엘 다녀왔다.
햇살 아래서
화사하면서도 단아하게 만개한 매화꽃. 3월초라 그런지 아찔한 꽃향도 남아 있어서 제대로 매화꽃을 즐길 수 있었다.










납매






납매는 어떤 꽃일까요? 🔻🔻🔻
매화꽃의 종류 홍매화 청매화 백매화 만첩매화 수양매화 납매 매화꽃 명소 천연기념물 매화꽃
매화나무는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일찍 피기에 ‘조매(早梅)’, 추운 날씨에 핀다고 ‘동매(冬梅)’, 눈 속에 핀다고 ‘설중매(雪中梅)’라 한다. 아울러 색에 따라 희면 ‘백매(白梅)’, 붉으면
khtd1831.tistory.com





경상감영공원
면적 약 16,500㎡이다. 공원 터는 조선 선조 때 경상감영이 있던 곳으로, 그 터를 보전하기 위해 조성된 공원이다. 1910년부터 1965년까지는 이곳에 경상북도 청사가 있었고, 도청이 옮겨간 후 1970년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대구의 중심에 위치하여 '중앙공원'이라 불리다가, 1997년 '경상감영공원'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공원 안에는 경상감영 관찰사가 집무를 보던 선화당(宣化堂: 대구유형문화재 1)과 경상감영 관찰사 처소로 쓰이던 징청각(澄淸閣: 대구유형문화재 2)이 남아 있고, 관찰사와 대구판관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세운 총 29기의 선정비가 있다. 그밖에 옛 건물의 멋을 살린 정문, 분수, 돌담, 자갈이 깔린 산책로, 조국통일을 기원하는 '통일의 종' 등이 있다.(출처 두산백과)
경상감영공원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에 있는 공원. 면적 약 16,500㎡이다. 공원 터는 조선 선조 때 경상감영이 있던 곳으로, 그 터를 보전하기 위해 조성된 공원이다. 1910년부터 1965년까지는 이곳에 경상북도
m.terms.naver.com
✅ 경상감영공원 위치
대구 중구 경상감영길 99 경상감영공원
https://naver.me/FsloJBPX
경상감영공원 : 네이버
방문자리뷰 44 · 블로그리뷰 843
m.place.naver.com
경상감영은 경주시, 상주시, 성주군, 대구 달성군, 안동시 등지를 옮겨 다니다가 선조 시기 대구로 최종 이전하였다. 당연히 이때는 광역시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을 때다. 그러다 고종 시기 경상도가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로 나뉘며 경상감영은 경북만 관할하게 됐고, 일제강점기에 지금의 경상북도청이 되었다.
8.15 광복 후에도 경북도청으로 계속 쓰이다가, 6.25 전쟁 때 대구가 잠시 임시수도였던 시기에는 경상감영 전체를 통째로 정부청사로 쓰기도 했다. 이후 경북도청은 1966년 북구 산격동으로 이전했고, 경상감영 자리는 중앙공원이 되었다가 1997년 문희갑 대구광역시장에 의해 경상감영을 재현한 공원으로 정비되고 경상감영공원으로 개칭됐다. 2017년 4월 26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538호 '대구 경상감영지'로 지정되었다.(출처 나무위키)
경상감영
경상감영은 조선시대 경상도 를 관할하던 관청( 감영 )이다. 현대의 도청 과 같은 역할을 했다. 현재는 경상감영
namu.wiki
경상감영공원 대중교통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 4번 출구에서 도보 5분.
✅ 버스는 <경상감영공원 정류장>, <곽병원/만경관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5분.
📍<경상감영공원 정류장>
급행2번, 204번, 304번, 349번, 401번, 410(-1)번, 503번, 623번, 706번, 730번, 980번, 가창2번(칠성시장 방향), 북구2번(서문시장 방향)
📍<곽병원/만경관 정류장>
급행1번, 급행3번, 급행5번, 급행6번, 156번, 234번, 240번, 309번, 323(-1)번, 425번, 524번, 623번, 724번, 909번(금구동 방향), 939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