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표지는 영천시 화남면에 있는 귀애고택
그곳에서 고택음악회를 한다고 TV자막에 계속 홍보를 하는 걸 보았다. 18일 토요일 저녁 7시. 꼭 가보고 싶었는데 그날따라 사정이 여의치않아 놓쳤다. 뒤늦게라도 그곳이 어떤 곳인가 가보고 싶었다.
문헌공 조명직(曺命稷)[1733~1807]이 1767년(조선 영조 43)에 이곳으로 이주해 온 뒤 귀애 조극승(曺克承)[1803~1877], 운파 조병수(曺秉秀)[1832~1903] 등 일산 삼대가 귀애정·사당·별묘·육각정 등 47칸을 건축하였다고 한다.
(이 글의 역사적, 건축학적 자료는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참고로 하였다.)
주인장과 몇 마디 주고받고 있는데, 요 쪼꼬만 강아지 두 마리가 살갑게 다가와 우리 주변을 맴돈다. 어린 생명은 다 이쁘다.
왼쪽에 덩그렇게 올라서있는 듯 보이는 건물이 큰채이다. 귀애고택 중 건립 당시의 모습이 남아 있는 것은 큰채 뿐이다. 큰채는 정면 7칸, 측면 1칸 규모이며, 구조는 주상부에 장여 수장한 3량가 맞배기와집이다. 집 뒤편의 야산에 바짝 붙여 큰채를 북동향으로 앉혔다. 시멘트로 마감한 2단의 기단에 자연석 초석을 놓고 민흘림기둥을 세운 뒤 벽을 치고 창호를 달았다. 정지와 대청의 벽은 판벽이고, 그 외는 심벽이다. 창호는 정지문이 쌍여닫이 띠장널문, 대청은 뒷문이 쌍여닫이 울거미 띠장널문이고 앞문은 쌍여닫이 굽널세살문이다.
🔻
🔻
고택을 둘러싼 토석담이 정갈하다. 토석담 옆에 탐스럽게 서 있는 나무도 아름답다. 무슨 나무인지는 봄에 피는 꽃을 봐야 알 수 있을 듯.(휙 스쳐와서 무슨 나무인지 살펴보지 못했다.)
영천 귀애정의 창건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극승이 태어난 고택 인근에 작은 정사 건물을 짓고 후학에 힘썼다는 기록을 볼 때 19세기 후반 경에 초창되었으리라 판단되며 조극승의 사후[1877] 공을 추모하기 위해 1917년 후손들이 정사 터에 현재의 모습으로 중건했다.
1997년 12월 19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39호로 지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귀애고택 쪽에서 귀애정 들아가는 문이다.
🔻
귀애정 옆에 있는 사당건물
🔻
주사를 ‘몽희헌(夢喜軒)’[희(喜)자는 정확히 판독하기 어렵지만 기타 문헌에 ‘희(喜)’로 표기되어 있어 인용함], 익사를 ‘수월루(水月樓)’라 편액하여 전체를 귀애정이라 한다.
🔻
🔻
🔻
삼십년 전에 무너진 정자를 2009년에 복원하였다고 한다.
복원된 현재 육각정자 모습
🔻
귀애정 앞에 있는 연지와 귀애고택 옆에 있는 연지에는 이미 연꽃이 지고 연밥이 달린 것도 있었지만, 몇 송이 남아있는 연꽃에서 연향이 얼마나 그윽히 풍기던지 한참을 연지 옆에 마련해둔 의자에 앉아 머물다가 왔다.
🔻
🔻
🔻
🔻
🔻
귀애고택 뜰에 있던 조형물, 고가에 다소 생뚱맞은 조형물이라 생각할 수도 있겠으나, 이 조각품은 귀여웠다. 별을 따려는 소년과 강아지 한 마리. 꿈을 좇는 우리 모두의 모습을 닮아서일까.
귀애고택 & 귀애정 총정리
1) 귀애고택은 영천에 있는 고택이다.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귀호1길 37-17
2) 고택체험(민박)도 할 수 있는 곳이다.
3) 귀애고택 뒤에 있는 귀애정은 문화재로 지정되어 무료개방되고 있다.
4) 연꽃이 아름다운 곳이다.
5) 가족여행지로 좋은 곳이다.
귀애고택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www.gwiae.com
반응형
'여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천 가볼만한곳/할아버지의 소망을 이루기 위해 손자가 건립한 임고면 선원리 함계정사/ 2018.8.22. (0) | 2018.08.22 |
---|---|
영천여행지/임고면 선원리 고가마을 구경/정용준씨 가옥/2018.8.21 (0) | 2018.08.22 |
대구중구 맛집/집밥 그립지 않나요? '제이쿡'/경상감영공원/대구중부경찰서 부근/ 2018.8.17. (0) | 2018.08.17 |
대구 연꽃 명소/청도 여행지/청도 유등지(유호연지)에는 연꽃이 지고 있다./2018.8.11. (1) | 2018.08.11 |
대구 인근 배롱나무 명소/ 가창 퇴계들옆 행정길에 배롱나무꽃 만발/2018.8.11. (0) | 2018.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