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알은체
명사 어떤 일에 관심을 가지는 듯한 태도를 보임.사람을 보고 인사하는 표정을 지음.
🔹️남의 일에 알은체를 하다.
🔹️서로 알은체도 안 하다.
2) 알은척
명사 어떤 일에 관심을 가지는 듯한 태도를 보임.사람을 보고 인사하는 표정을 지음.
🔹️다음에 만나 봐라, 알은척이나 하나.
🔹️그녀는 일일이 따졌지만 벽창호 같은 벙어리는 알은척도 않고 자기 고집만을 내세웠다.
3) 알은척하다
동사 어떤 일에 관심을 가지는 듯한 태도를 보이다.
사람을 보고 인사하는 표정을 짓다.
4)알은체하다
동사 어떤 일에 관심을 가지는 듯한 태도를 보이다.사람을 보고 인사하는 표정을 짓다
'알은체'와 '알은척'은 서로 같은 뜻으로 쓰이는 명사이다. 한 단어이므로 3음절 모두 붙여 쓴다.
'알은체하다'와 '알은척하다'는 서로 같은 뜻으로 쓰이는 동사다. 역시 한 단어이므로 5음절 모두 붙여 쓴다.
5) 아는✔체하다(척하다) 2개의 단어
동사 '알다'의 관형사형 '아는'에 보조동사 '체하다'가 어우러진 표현이기 때문에 각각의 단어는 띄어 써야 한다.
의미도 앞의 1, 2번과 다르게 '아는✔체하다(척하다)'는 '모르면서 아는 듯이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 체하다(척하다)
보조동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거짓으로 그럴듯하게 꾸밈을 나타내는 말.
📍어떤 일에 관심을 가지는 듯한 태도를 보이거나 사람을 보고 인사하는 표정을 짓는 것을 나타낼 때는 '알은체(=알은척)', 혹은 '알은체(알은척)하다'를 사용하고
'모르면서 아는 듯이 행동하는 것'을 말하고 싶을 때는 아는✔척하다(=체하다)를 사용하면 된다.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이 개다, 날이 개이다 (0) | 2022.03.15 |
---|---|
의존명사 '지'와 연결어미 '-(으)ㄴ지' 구분 (0) | 2022.03.15 |
커녕, ㄴ커녕, 은커녕, 는커녕의 띄어쓰기 (0) | 2022.03.15 |
여기에서부터만이라도 띄어쓰기/여러 개의 조사가 붙은 말 (0) | 2022.03.15 |
회계년도, 회계연도 (0) | 2022.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