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blog.kakaocdn.net/dn/bQ65wa/btrISOwCOq8/I1VyIQby5pcn5Fb1Kds1n0/img.jpg)
21. 줄임표( …… )
(1) 할 말을 줄였을 때 쓴다.
예)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2)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 쓴다.
예) “빨리 말해!”
“…….”
(3)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 쓴다.
예) ‘고유’라는 말은 문자 그대로 본디부터 있었다는 뜻은 아닙니다. …… 같은 역사적 환경에서 공동의 집단생활을 영위해 오는 동안 공동으로 발견된, 사물에 대한 공동의 사고방식을 우리는 한국의 고유 사상이라 부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4) 머뭇거림을 보일 때 쓴다.
예) “우리는 모두…… 그러니까…… 예외 없이 눈물만…… 흘렸다.”
[붙임 1] 점은 가운데에 찍는 대신 아래쪽에 찍을 수도 있다.
예)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예) “실은...... 저 사람...... 우리 아저씨일지 몰라.”
[붙임 2] 점은 여섯 점을 찍는 대신 세 점을 찍을 수도 있다.
예)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예) “실은... 저 사람... 우리 아저씨일지 몰라.”
[붙임 3] 줄임표는 앞말에 붙여 쓴다. 다만, (3)에서는 줄임표의 앞뒤를 띄어 쓴다.
출처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 2. 물음표(?) (0) | 2022.08.04 |
---|---|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 1. 마침표( . ) (0) | 2022.08.04 |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 20. 빠짐표( □ ) (0) | 2022.08.04 |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 19. 숨김표( O, X ) (0) | 2022.08.04 |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 18. 드러냄표( ˙ )와 밑줄(__) (0) | 2022.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