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속담 구름 갈 제 비가 간다 → 구름
구 바늘이 가는 데 실이 항상 뒤따른다는 뜻으로, 사람의 긴밀한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검은 구름 → 검다2
구 착취, 압박, 전쟁 따위로 빚어진 암담한 상황, 위험한 정세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구름 걷히듯 → 구름
북한어 깨끗이 사라져 없어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구름 따라 룡이 가고 바람 따라 구름 간다 → 구름
북한어 [같은 속담] 바람 따라 구름 가고 구름 따라 룡이 간다.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구름(을) 잡다 → 구름
구 막연하거나 허황된 것을 좇다.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검은 구름에 백로 지나가기 → 검다2
1.
구 정처 없이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구 어떤 일을 해도 그 자취가 남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구 많은 것 가운데에서 유난히 표시가 뚜렷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구름같이 모여들다 → 구름
구 한꺼번에 많이 모여들다.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구름같이 사라지다 → 구름
북한어 감쪽같이 사라지다.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바늘 가는 데 실 가고 바람 가는 데 구름 간다 → 바늘
구 바늘이 가는 데 실이 항상 뒤따른다는 뜻으로, 사람의 긴밀한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용 가는 데 구름 가고 범 가는 데 바람 간다 → 용8
구 반드시 같이 다녀서 둘이 서로 떠나지 아니할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바람에 구름 밀리듯 → 바람1
북한어 어떤 현상이나 사물이 삽시간에 한쪽으로 몰리거나 흩어져 없어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어느 구름에(서) 비가 올지 → 어느
1.
구 일의 결과는 미리 짐작할 수 없다는 말.
2.
구 언제 무엇이 어떻게 될지 미래의 일에 대하여는 모른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구름(을) 잡은 것 같다 → 구름
북한어 (비유적으로) 허망하고 아리송하다.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검은 구름을 몰아오다 → 검다2
북한어 어떠한 기운이나 환경을 조성하다.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바람 먹고 구름 똥 싼다 → 바람1
구 형체도 없는 바람을 먹고 둥둥 떠가는 구름 똥을 싼다는 뜻으로, 허황된 짓을 하는 경우를 비꼬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구름 없는 하늘에 비 올까 → 구름
구 필요한 조건 없이 결과가 이루어지는 법이 없음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청천에 구름 모이듯 → 청천1
구 푸른 하늘에 구름이 모여들 듯이 여기저기서 한곳으로 많이 모여드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구름을 표하고 물건 파묻기 → 구름
북한어 흔적도 없이 곧 사라지고 말 구름을 표로 삼아 물건을 파묻는다는 뜻으로, 허황한 대상으로 표를 삼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구름이 자주 끼면 비가 온다 → 구름
구 일정한 징조가 있으면 그에 따르는 결과가 있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바람 따라 구름 가고 구름 따라 룡이 간다 → 바람1
북한어 바람이 부는 데 따라 구름이 흘러가고 구름이 가는 데 용이 갈 수 있다는 뜻으로, 모든 현상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검은 구름이 하늘을 뒤덮다 → 검다2
북한어 착취, 압박, 전쟁 따위로 사람들에게 불행과 고통을 가져다줄 상황이 조성되다.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만수산에 구름 모이듯 → 만수산
구 푸른 하늘에 구름이 모여들 듯이 여기저기서 한곳으로 많이 모여드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어느 구름에 눈이 들며 어느 구름에 비가 들었나 → 어느
구 언제 무엇이 어떻게 될지 미래의 일에 대하여는 모른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장마철에 비구름 모여들듯 → 장마철
구 푸른 하늘에 구름이 모여들 듯이 여기저기서 한곳으로 많이 모여드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어느 구름에서 비가 올지 → 어느
1.
어느 때 어떤 일이 생길지 모른다는 말. (=어느 구름에 눈이 들며 어느 구름에 비가 들었나.)
2.
일의 결과를 미리 짐작하기 어렵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검은 구름에 백로 지나가기〔지나가듯〕 → 검다2
1.
정처 없이 돌아다녀 종적을 알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많은 것 중에 표적이 뚜렷하다는 말.
3.
어떤 일을 해도 그 자취가 남지 않는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구름이 지나가면 해를 본다 → 구름1
고통을 겪고 나면 행복을 누릴 수 있음을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구름 없는 하늘에서 비가 올까 → 구름1
원인 없이 결과가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이르는 말.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구름이 자꾸〔자주〕 끼면 비가 온다 → 구름1
구름의 움직임에 따라 날씨가 궂거나 화창해지는 조짐을 알 수 있다는 뜻으로, 일정한 징조가 있으면 그에 따르는 결과가 있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정월 초하룻날 구름이 약간 끼면 풍년이 든다 → 정월1
음력 정월 초하룻날이 맑으면 가물고 구름이 많이 끼면 장마 들고 약간 끼면 풍년이 든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용 가는 데 구름 간다 → 용
반드시 같이 다녀서 둘이 서로 떠나지 아니할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용 가는 데 구름 가고 범 가는 데 바람 간다’ ‘범 가는 데 바람 간다’
우리말샘
속담 하지 지나 열흘이면 구름장마다 비다 → 하지6
북한어 하지가 지난 다음에는 장마가 들기 때문에 비가 자주 내린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제와 관련된 속담, 관용구 (0) | 2022.02.11 |
---|---|
집과 관련된 속담, 관용구 (0) | 2022.02.11 |
구름의 종류 (0) | 2022.02.11 |
꽃과 관련된 속담,관용구 (0) | 2022.02.11 |
바람의 종류 (0) | 2022.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