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바로 쓰기

한글맞춤법 제5장 제2절 제44항 분문 및 해설

by 토토의 일기 2022. 2. 23.
반응형

제44항 수를 적을 적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

이미지출처 한글맞춤법 문체부고시

한글맞춤법 제44항 해설
해설

1933년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에서는 수의 한글 표기를 십진법 단위로 띄어 쓰도록 했다. 그러나 십 단위로 띄어 쓰는 것은 지나치게 많이 띄어 쓰게 되어 의미 파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우리말 수를 읽을 때의 단위 구획과도 맞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백 단위, 천 단위의 띄어쓰기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말끔히 해소해 주지는 못한다. 이 문제점을 모두 해소한 것이 만 단위로 띄어 쓰도록 정한 이 규정이다. 즉 읽을 때 만 단위로 읽는 것이 자연스러우므로 이와 같이 규정한 것이다.

① 이백 삼십 육만 칠천 이백 구십 오(십 단위)

② 이백 삼십육만칠천 이백구십오(천 단위)

③ 이백삼십육만 칠천이백구십오(만 단위)

이는 아라비아 숫자와 함께 적을 때도 마찬가지다.

④ 칠경 삼천이백사십삼조 칠천팔백육십칠억 팔천구백이십칠만 육천삼백오십사7경 3243조 7867억 8927만 63547경 3천2백4십3조 7천8백6십7억 8천9백2십7만 6천3백5십4

다만, 금액을 적을 때는 변조(變造) 등의 사고를 방지하려는 뜻에서 붙여 쓰는 게 관례로 되어 있다.

⑤ 일금: 삼십일만오천육백칠십팔원정돈: 일백칠십육만오천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