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51항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
1. ‘이’로만 나는 것

2. ‘히’로만 나는 것

3. ‘이, 히’로 나는 것

한글맞춤법 제51항 해설
해설
이 조항은 부사의 끝음절 발음에 따라서 ‘-이’나 ‘-히’로 표기한다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부사 중에는 끝음절이 [이]로 소리 나기도 하고 [히]로 소리 나기도 하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부사는 끝음절을 ‘히’로 적기로 하였다.
부사의 끝음절이 [이]로 나는지 [히]로 나는지를 직관적으로 명확히 구별하기는 어려우나 다음과 같은 경향성을 참조하여 구별할 수는 있다. 다만 이것만으로 구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단어마다 국어사전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1) ‘이’로 적는 것
① 겹쳐 쓰인 명사 뒤
겹겹이
골골샅샅이
곳곳이
길길이
나날이
낱낱이
다달이
땀땀이
몫몫이
번번이
샅샅이
알알이
앞앞이
줄줄이
짬짬이
철철이
② ‘ㅅ’ 받침 뒤
기웃이
나긋나긋이
남짓이
뜨뜻이
버젓이
번듯이
빠듯이
지긋이
③ ‘ㅂ’ 불규칙 용언의 어간 뒤
가벼이
괴로이
기꺼이
너그러이
부드러이
새로이
쉬이
외로이
즐거이
④ ‘-하다’가 붙지 않는 용언 어간 뒤
같이
굳이
길이
깊이
높이
많이
실없이
헛되이
⑤ 부사 뒤(한글 맞춤법 제25항 2 참조)
곰곰이
더욱이
생긋이
오뚝이
일찍이
히죽이
(2) ‘히’로 적는 것
① ‘-하다’가 붙는 어근 뒤(단, ‘ㅅ’ 받침 제외)
간편히
고요히
공평히
과감히
극히
급히
급급히
꼼꼼히
나른히
능히
답답히
딱히
속히
엄격히
정확히
족히
② ‘-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가 결합하여 된 부사에서 온 말
익히(←익숙히)
특히(←특별히)
③ 어원적으로는 ‘-하다’가 붙지 않는 어근에 부사화 접미사가 결합한 형태로 분석되더라도, 그 어근 형태소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지 않은 단어의 경우는 익어진 발음 형태대로 ‘히’로 적는다.
작히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맞춤법 제6장 제53항 분문 및 해설 (0) | 2022.02.23 |
---|---|
한글맞춤법 제6장 제52항 분문 및 해설 (0) | 2022.02.23 |
한글맞춤법 제5장 제4절 제50항 분문 및 해설 (0) | 2022.02.23 |
한글맞춤법 제5장 제4절 제49항 분문 및 해설 (0) | 2022.02.23 |
한글맞춤법 제5장 제4절 제48항 분문 및 해설 (0) | 2022.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