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버지를 부르는 말은 '아버지', '아빠'이다.
2. 아버지에 대한 지칭
1) 아버지 당사자, 어머니, 조부모, 형제, 자매, 친척에게 지칭할 때는 호칭과 동일하게 '아버지', '아빠'
2) 남편이나 시댁 쪽 사람에게는 '친정아버지'
3) 아내와 처가 쪽 사람에게는 '아버지'로 지칭
4) 그 밖의 사람에게는 '아버지', 'ㅇㅇ(자녀) 할아버지', 말하는 이가 여성이면 '아버지', '친정아버지', 'ㅇㅇ(자녀) 외할아버지'로 지칭한다.
5) 돌아가신 아버지를 어머니와 조부모에게 지칭할 때는 살아 계실 때와 같이 '아버지'로 지칭하고, 그 외의 사람에게는 '아버님'으로 지칭하는데 '아버지'를 쓸 수도 있다.
6) '선친'은 나의 돌아가신 아버지를 남에게 지칭할 때 쓰는 말이다.

🔶️ 아버지
자기를 낳아 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아빠
격식을 갖추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 ‘아버지’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부친 父親
‘아버지’를 정중히 이르는 말.
🔶️가친 家親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아버님
‘아버지’의 높임말. 주로 돌아가신 아버지를 이르거나 편지글 따위에서 쓴다.
시아버지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 남의 아버지를 높여서 일컫는 말. 일반적으로는 춘부장이 아버님보다 더 격식을 차린 말로 인식된다. '아버님'은 구어체 표현으로, 주로 처가나 시댁 같은 인척 관계에서 사용한다. 두 단어 모두 단어 자체가 '타인의 부친'이란 뜻을 내포하므로 자신의 아버지에게는 시용하지 않는다.
🔶️선고 先考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선친 先親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춘부장 椿府丈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선대인 先大人
돌아가신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모친 母親
‘어머니’를 정중히 이르는 말.
🔶️ 자친 慈親
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선비 先妣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 엄부 嚴父
엄격한 아버지.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엄친 嚴親
엄한 어버이. 주로 바깥부모를 이른다.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가친 家親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선고 先考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 선군자 先君子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 선친 先親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 선부군 先父君
‘선친’의 높임말.
🔶️ 자당 慈堂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대부인 大夫人= 모부인 母夫人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 춘부장 椿府丈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선대부인 先大夫人
돌아가신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 선대인 先大人
돌아가신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녀에 대한 호칭 (0) | 2022.04.08 |
---|---|
어머니에 대한 호칭 (0) | 2022.04.08 |
사촌의 분류, 사촌 배우자의 호칭 (0) | 2022.04.08 |
부모님의 사촌 형제자매들의 호칭 (0) | 2022.04.08 |
조부모의 형제자매를 일컫는 말(본인 기준 촌수는 4촌)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