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남편에 대한 호칭은 '여보'를 쓴다. 'ㅇㅇ(자녀) 아빠'는 되지만 '아빠'라고만 부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나이가 들면 'ㅇㅇ(자녀) 아버지', '영감', 'ㅇㅇ(손주, 외손주) 할아버지'라 할 수도 있다.
2. 남편에 대한 지칭
1) 시부모에게 지칭할 때는 '아범', '아비'로 지칭한다. 아이가 없을 때에는 '그이'로 지칭할 수 있다.
2) 친정 부모에게는 'ㅇ서방', 아이가 있을 때는 '아범', '아비'로 할 수도 있다.
3) 남편을 남편 동기에게 지칭할 때는 '그이', 'ㅇㅇ(자녀) 아버지', 'ㅇㅇ(자녀) 아빠'로 가리킨다.
4) 남편의 손아래 동기에게는 시동생에게는 '형', '형님', 시누이에게는 '오빠'로 쓸 수도 있다.
5) 남편 동기와 그 배우자에게는 '그이', 'ㅇㅇ(자녀) 아버지', 'ㅇㅇ(자녀) 아빠'로 쓴다.
6) 친정의 손위 동기와 그 배우자에게는 남편을 'ㅇ서방', '그이', 'ㅇㅇ(자녀) 아버지, 'ㅇㅇ(자녀) 아빠'로 지칭한다.
7) 친정의 손아래 동기와 그 배우자에게는 '그이', 'ㅇㅇ(자녀) 아버지', 'ㅇㅇ(자녀) 아빠'로 쓸 수도 있고 남동생에게는 '매형', '자형', 매부', 여동생에게는 '형부'로 쓸 수 있다.
8) 자녀에게는 '아버지', '아빠'로 지칭하고
9) 며느리에게는 '아버님', 사위에게는 '장인', '장인어른', '아버님'이라고 한다.
10) 자신의 친구들에게는 '그이', '남편', '애아버지', '애 아빠', 'ㅇㅇ(자녀) 아버지', 'ㅇㅇ(자녀) 아빠'로 쓸 수 있다. 그리고 남편의 직함을 붙여 '우리 부장', '우리 과장' 등으로 지칭해서는 안 된다.
11) 남편의 친구들에게는 '그이', '애아버지', '애 아빠', '바깥양반', '바깥사람'으로 쓰는데 'ㅇㅇ(자녀) 아버지', 'ㅇㅇ(자녀) 아빠'도 허용한다.
12) 남편의 회사에 전화를 걸어 남편을 바꾸어 달라고 할 때는 'ㅇㅇㅇ 씨', '과장님', 'ㅇ과장님', 'ㅇㅇㅇ 과장님'과 같이 직함을 사용하여 지칭한다.
13) 아는 사람에게 남편을 가리킬 때는 'ㅇㅇ(자녀) 아버지', 'ㅇㅇ(자녀) 아빠', '바깥양반', '바깥사람'을 쓰고, 모르는 사람에게는 '남편', '애아버지', '애 아빠'를 쓴다.

🔶️여보
부부 사이에 서로 상대편을 부르는 말.
🔶️당신 當身
부부 사이에서,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남편 男便
혼인하여 여자의 짝이 된 남자
🔶️신랑 新郞
신혼 초의 남편을 이르는 말.
🔶️서방 書房
‘남편’을 낮잡아 이르는 말.
🔶️부군 夫君
남의 남편을 높여 이르는 말.
🔶️낭군 郞君
예전에, 젊은 여자가 자기 남편이나 연인을 부르던 말.
🔶️바깥사람
남편을 예사롭게 또는 낮추어 이르는 말.
🔶️바깥주인 바깥主人
아내가 남편을 이르는 말.
🔶️바깥양반 바깥兩班
아내가 남편을 이르는 말.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사항 띄어쓰기 (0) | 2022.04.10 |
---|---|
아내에 대한 호칭 (0) | 2022.04.08 |
시어머니에 대한 호칭 (0) | 2022.04.08 |
시아버지에 대한 호칭 (0) | 2022.04.08 |
자녀에 대한 호칭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