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바로 쓰기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 5. 가운뎃점(ㆍ)

by 토토의 일기 2022. 8. 4.
반응형




5. 가운뎃점(ㆍ)


(1)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예) 민수ㆍ영희, 선미ㆍ준호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예) 지금의 경상남도ㆍ경상북도, 전라남도ㆍ전라북도, 충청남도ㆍ충청북도 지역을 예부터 삼남이라 일러 왔다.

(2)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 쓴다.
예) 한(韓)ㆍ이(伊) 양국 간의 무역량이 늘고 있다.
예) 우리는 그 일의 참ㆍ거짓을 따질 겨를도 없었다.
예)하천 수질의 조사ㆍ분석
예) 빨강ㆍ초록ㆍ파랑이 빛의 삼원색이다.

다만, 이때는 가운뎃점을 쓰지 않거나 쉼표를 쓸 수도 있다.
예) 한(韓) 이(伊) 양국 간의 무역량이 늘고 있다.
예) 우리는 그 일의 참 거짓을 따질 겨를도 없었다.
예) 하천 수질의 조사, 분석
예) 빨강, 초록, 파랑이 빛의 삼원색이다.

(3)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
예) 상ㆍ중ㆍ하위권
예) 금ㆍ은ㆍ동메달
예) 통권 제54ㆍ55ㆍ56호

[붙임] 이때는 가운뎃점 대신 쉼표를 쓸 수 있다.
예) 상, 중, 하위권
예) 금, 은, 동메달
예) 통권 제54, 55, 56호

출처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