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바로 쓰기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 7. 빗금(/)

by 토토의 일기 2022. 8. 4.
반응형



7. 빗금(/)

(1)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그 사이에 쓴다.

예) 먹이다/먹히다
예) 남반구/북반구
예) 금메달/은메달/동메달
예) (    )이/가 우리나라의 보물 제1호이다.

(2)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 해당 수량과 기준 단위 사이에 쓴다.

예) 100미터/초
예) 1,000원/개

(3) 시의 행이 바뀌는 부분임을 나타낼 때 쓴다.

예)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다만, 연이 바뀜을 나타낼 때는 두 번 겹쳐 쓴다.

예) 산에는 꽃 피네 / 꽃이 피네 / 갈 봄 여름 없이 / 꽃이 피네 //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붙임] 빗금의 앞뒤는 (1)과 (2)에서는 붙여 쓰며, (3)에서는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한다.

단, (1)에서 대비되는 어구가 두 어절 이상인 경우에는 빗금의 앞뒤를 띄어 쓸 수 있다.

출처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