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바로 쓰기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 12. 대괄호( [ ] )

by 토토의 일기 2022. 8. 4.
반응형



12. 대괄호( [ ] )

(1)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필요가 있을 때 바깥쪽의 괄호로 쓴다.

예) 어린이날이 새로 제정되었을 당시에는 어린이들에게 경어를 쓰라고 하였다.[윤석중 전집(1988), 70쪽 참조]
예) 이번 회의에는 두 명[이혜정(실장), 박철용(과장)]만 빼고 모두 참석했습니다.

(2) 고유어에 대응하는 한자어를 함께 보일 때 쓴다.

예) 나이[年歲]
예) 낱말[單語]
예) 손발[手足]

(3) 원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이나 논평 등을 덧붙일 때 쓴다.

예) 그것[한글]은 이처럼 정보화 시대에 알맞은 과학적인 문자이다.
예) 신경준의 ≪여암전서≫에 “삼각산은 산이 모두 돌 봉우리인데, 그 으뜸 봉우리를 구름 위에 솟아 있다고 백운(白雲)이라 하며 [이하 생략]”
예) 그런 일은 결코 있을 수 없다.[원문에는 ‘업다’임.]


출처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