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blog.kakaocdn.net/dn/BooVW/btrIRHxLuYo/MdTtvUjur0HSVGCt0cybx1/img.jpg)
13. 겹낫표(『 』)와 겹화살괄호(≪ ≫)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쓴다.
예)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은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이다.
예)『훈민정음』은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예) ≪한성순보≫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이다.
예) 윤동주의 유고 시집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는 31편의 시가 실려 있다.
[붙임] 겹낫표나 겹화살괄호 대신 큰따옴표를 쓸 수 있다.
예)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은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이다.
예) 윤동주의 유고 시집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는 31편의 시가 실려 있다.
출처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 15. 줄표( ― ) (0) | 2022.08.04 |
---|---|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 14. 홑낫표(「 」)와 홑화살괄호(< >) (0) | 2022.08.04 |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 12. 대괄호( [ ] ) (0) | 2022.08.04 |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 11. 중괄호( { } ) (0) | 2022.08.04 |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 10. 소괄호( ( ) ) (0) | 2022.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