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장 부호
7. 빗금( / )
(1)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그 사이에 쓴다.
먹이다/먹히다 남반구/북반구
금메달/은메달/동메달
( )이/가 우리나라의 보물 제1 호이다.
(2)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 해당 수량과 기준 단위 사이에 쓴다.
100미터/초 1,000원/개
(3) 시의 행이 바뀌는 부분임을 나타낼 때 쓴다.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다만, 연이 바뀜을 나타낼 때는 두 번 겹쳐 쓴다.
산에는 꽃 피네 / 꽃이 피네 / 갈 봄 여름 없이 / 꽃이 피네 //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붙임] 빗금의 앞뒤는 (1)과 (2)에서는 붙여 쓰며, (3)에서는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한다. 단, (1)에서 대비되는 어구가 두 어절 이상인 경우에는 빗금의 앞뒤를 띄어 쓸 수 있다.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7-12호
한글 맞춤법 바로가기
🔻
http://www.korean.go.kr/preview/201901/한글맞춤법_문체부고시_제2017-12호(20170328).mobile.xhtml
7. 빗금( / )
(1)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그 사이에 쓴다.
먹이다/먹히다 남반구/북반구
금메달/은메달/동메달
( )이/가 우리나라의 보물 제1 호이다.
(2)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 해당 수량과 기준 단위 사이에 쓴다.
100미터/초 1,000원/개
(3) 시의 행이 바뀌는 부분임을 나타낼 때 쓴다.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다만, 연이 바뀜을 나타낼 때는 두 번 겹쳐 쓴다.
산에는 꽃 피네 / 꽃이 피네 / 갈 봄 여름 없이 / 꽃이 피네 //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붙임] 빗금의 앞뒤는 (1)과 (2)에서는 붙여 쓰며, (3)에서는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한다. 단, (1)에서 대비되는 어구가 두 어절 이상인 경우에는 빗금의 앞뒤를 띄어 쓸 수 있다.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7-12호
한글 맞춤법 바로가기
🔻
http://www.korean.go.kr/preview/201901/한글맞춤법_문체부고시_제2017-12호(20170328).mobile.xhtml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 부호,작은따옴표(‘ ’)/한글 맞춤법 바로가기 (0) | 2019.01.07 |
---|---|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 부호,큰따옴표(“ ”)/한글 맞춤법 바로가기 (0) | 2019.01.07 |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 부호,쌍점( : )/한글 맞춤법 바로가기 (0) | 2019.01.07 |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 부호,가운뎃점(ㆍ)/한글 맞춤법 바로가기 (0) | 2019.01.07 |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 부호,쉼표( , ),반점( , )/한글 맞춤법 바로가기 (0) | 2019.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