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장 부호
6. 쌍점( : )
(1)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쓴다.
문방사우: 종이, 붓, 먹, 벼루
일시: 2014년 10월 9일 10시
흔하진 않지만 두 자로 된 성씨도 있다.(예: 남궁, 선우, 황보)
올림표(♯): 음의 높이를 반음 올릴 것을 지시한다.
(2) 희곡 등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 말하는 이와 말한 내용 사이에 쓴다.
김 과장: 난 못 참겠다.
아들: 아버지, 제발 제 말씀 좀 들어 보세요.
(3)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 쓴다.
오전 10:20(오전 10시 20분)
두시언해 6:15(두시언해 제6권 제15장)
(4) 의존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 쓴다.
65:60(65 대 60) 청군:백군(청군 대 백군)
[붙임] 쌍점의 앞은 붙여 쓰고 뒤는 띄어 쓴다. 다만, (3)과 (4)에서는 쌍점의 앞뒤를 붙여 쓴다.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7-12호
한글 맞춤법 바로가기
🔻
http://www.korean.go.kr/preview/201901/한글맞춤법_문체부고시_제2017-12호(20170328).mobile.xhtml
6. 쌍점( : )
(1)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쓴다.
문방사우: 종이, 붓, 먹, 벼루
일시: 2014년 10월 9일 10시
흔하진 않지만 두 자로 된 성씨도 있다.(예: 남궁, 선우, 황보)
올림표(♯): 음의 높이를 반음 올릴 것을 지시한다.
(2) 희곡 등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 말하는 이와 말한 내용 사이에 쓴다.
김 과장: 난 못 참겠다.
아들: 아버지, 제발 제 말씀 좀 들어 보세요.
(3)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 쓴다.
오전 10:20(오전 10시 20분)
두시언해 6:15(두시언해 제6권 제15장)
(4) 의존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 쓴다.
65:60(65 대 60) 청군:백군(청군 대 백군)
[붙임] 쌍점의 앞은 붙여 쓰고 뒤는 띄어 쓴다. 다만, (3)과 (4)에서는 쌍점의 앞뒤를 붙여 쓴다.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7-12호
한글 맞춤법 바로가기
🔻
http://www.korean.go.kr/preview/201901/한글맞춤법_문체부고시_제2017-12호(20170328).mobile.xhtml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 부호,큰따옴표(“ ”)/한글 맞춤법 바로가기 (0) | 2019.01.07 |
---|---|
한글 맞춤법 부록,문장 부호,빗금( / )/한글 맞춤법 바로가기 (0) | 2019.01.07 |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 부호,가운뎃점(ㆍ)/한글 맞춤법 바로가기 (0) | 2019.01.07 |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 부호,쉼표( , ),반점( , )/한글 맞춤법 바로가기 (0) | 2019.01.07 |
한글 맞춤법 부록,문장 부호,느낌표(!)/한글 맞춤법 바로가기 (0) | 2019.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