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바로 쓰기

사랑과 관련된 속담,관용구

by 토토의 일기 2022. 2. 11.
반응형







속담 사랑은 내리사랑 → 사랑1

구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사랑하기는 하여도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사랑하기는 좀처럼 어렵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사랑을 속삭이다 → 사랑1

1.
구 이성 간에 사랑의 말을 주고받다.

2.
구 이성 간에 애정 관계를 맺고 사귀다.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욕이 사랑 → 욕2

북한어 아끼는 사람을 욕하는 것은 훌륭한 사람이 되라는 뜻이 있으므로 사랑의 표시라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사랑의 보금자리 → 사랑1

구 서로 사랑하는 사람끼리 만드는 새 가정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 → 내리사랑

구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사랑하기는 하여도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사랑하기는 좀처럼 어렵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품마다 사랑이 있다 → 품1

구 새 애인을 만나면 또 다른 사랑이 생긴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사랑은 마음속에서 자란다 → 사랑1

구 사랑은 생활을 같이하는 가운데 마음속에서 움트고 자라남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새도 제 보금자리를 사랑한다 → 새3

구 제가 사는 집이나 가정을 사랑하지 아니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아이도 사랑하는 데로 붙는다 → 아이1

구 사람은 누구나 정을 많이 주는 쪽을 따르는 법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자식을 길러 봐야 부모 사랑을 안다 → 자식1

1.
구 부모의 사랑은 자식이 그 끝을 다 알 수 없을 만큼 깊고 두터움을 이르는 말.

2.
구 무슨 일이든 직접 경험하지 아니하고서는 속까지 다 알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사위 사랑은 장모 며느리 사랑은 시아버지 → 사위1

구 흔히 며느리는 시아버지에게서 귀염을 받고, 사위는 장모에게 더 사랑을 받는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사랑은 내려가고 걱정은 올라간다 → 사랑1

구 사랑은 언제나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베풀어 주게 되고 걱정은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끼치는 법임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부모와 자식 간에도 일이 사랑이다 → 부모1

북한어 [같은 속담] 삼대독자 외아들도 일해야 곱다.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눈동자와 같이 아끼고 사랑하다 → 눈동자

북한어 매우 귀중히 아끼고 사랑하다.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짐승도 제 새끼는 사랑한다 → 짐승

북한어 짐승도 제 새끼를 사랑하는데 하물며 사람이야 오죽하겠느냐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사랑하는 자식일수록 매로 다스리라 → 사랑1

구 자식이 귀할수록 매로 때려서라도 버릇을 잘 가르쳐야 한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범도 제 새끼 사랑할 줄 안다 → 범1

북한어 ‘범도 새끼 둔 골을 두남둔다「1」’의 북한 속담.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돈에 대한 사랑은 돈이 자랄수록 자란다 → 돈1

구 돈에 대한 애착은 돈을 가지게 될수록 점점 자라나 끝이 없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호랑이도 제 새끼를 사랑하면 좋아한다 → 호랑이

북한어 [같은 속담] 호랑이도 제 새끼를 곱다고 하면 물지 않는다.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천금사랑은 없어도 일사랑은 있다 → 천금사랑

북한어 천금으로 남의 사랑을 억지로 살 수는 없지만 일을 잘하면 남의 사랑을 받게 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사랑하는 사람은 미움이 없고 미워하는 사람은 사랑이 없다 → 사랑1

구 한번 좋게 보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다 좋게만 보이고, 한번 밉게 보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다 밉게만 보인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돈으로 비단은 살 수 있어도 사랑은 살 수 없다 → 돈1

북한어 남녀 간의 참다운 사랑은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임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보금자리 사랑할 줄 모르는 새는 없다 → 보금자리

북한어 새조차도 제 보금자리를 극진히 사랑한다는 뜻으로,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가족과 가정을 사랑하고 소중히 여겨야 함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제 보금자리 사랑할 줄 모르는 새 없다 → 제24

구 누구나 다 자기 고향을 사랑하고 아낀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사내 못난 것은 사랑에 가서 먹이나 갈아 주고 계집 못난 것은 젖통만 크다 → 사내1

구 사내 못난 것은 남의 집 사랑방에 가서 선비들 글 쓰는 곁에 앉아 벼루에 먹 갈아 주는 시중이나 하고 계집 못난 것은 일할 줄은 모르면서 젖가슴만 크다는 뜻으로, 남자나 여자나 똑똑지 못할 때는 몸차림도 단정하지 못...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사랑을 나누다 → 사랑1

◀(명사)이▶ (남자가 여자와, 또는 남녀가) 성관계를 맺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갑작사랑 영이별 → 갑작사랑

물불 가리지 않고 덤벼들어 순식간에 뜨거워진 사랑은 순식간에 식어 버려 아주 헤어지기 쉽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사랑싸움은 칼로 물 베기 → 사랑싸움

서로 사랑하는 사람들 사이의 싸움은 곧 뒤끝이 풀리어 화목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내외간 싸움은 개싸움, 내외간 싸움은 칼로 물 베기라, 부부싸움은 칼로 물 베기, 양주 싸움은 칼로 물 베기.)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며느리 사랑은 시아버지 사위 사랑은 장모 → 며느리

흔히 며느리는 시아버지에게 귀염을 받고, 사위는 장모에게 더 사랑을 받는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아내는 남편 사랑을 먹고 산다 → 아내

여자는 아무리 고생스럽더라도 남편이 사랑을 해 주면 참고 견뎌 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자식을 길러 봐야 부모 사랑〔은공〕을 안다 → 자식1

자식은 누구나 제가 부모의 입장이 되어 봐야 비로소 제 부모의 은공을 헤아릴 수 있다는 말. (=시집을 가야 효도도 된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제 사랑 제가 진다 → 제

저 하기에 따라서 사랑을 받을 수도 있고 미움을 받을 수도 있다는 말. <동의 속담> ‘제 사랑 제가 끼고 있다’

우리말샘

속담 제 사랑 제가 끼고 있다 → 제

저 하기에 따라서 사랑을 받을 수도 있고 미움을 받을 수도 있다는 말. <동의 속담> ‘제 사랑 제가 진다’

우리말샘

속담 자식이 부모 사랑 절반만 해도 효자다 → 자식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은 비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는 말. <동의 속담> ‘자식이 부모의 맘 반이면 효자 된다’

우리말샘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방지다의 뜻  (0) 2022.02.11
떡과 관련된 속담,관용구  (0) 2022.02.11
모양과 관련된 속담, 관용구  (0) 2022.02.11
아들 관련된 속담,관용구  (0) 2022.02.11
연기와 관련된 속담  (0) 2022.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