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속담 일 잘하는 아들 낳지 말고 말 잘하는 아들 낳으라 → 일1
구 말을 잘하면 남들과 사귀면서 살아가는 데 유리함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아침 아저씨 저녁 소 아들 → 아침
구 농가에서 한창 바쁠 때 머슴의 비위를 맞추려고 아침에는 대접을 잘하지만 저녁에 일 끝나고 돌아오면 대접은커녕 함부로 대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네 아들 형제가 내 아들 하나만 못하다 → 네7
1.
북한어 남의 아들 둘을 데려와도 내 아들 하나만 못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자기 아들이 잘났다고 여기는 부모...
2.
북한어 남의 아들이 아무리 많아도 자기에게는 소용이 없다는 뜻으로, 필요한 물건이나 조건이 제게 꼭 갖추...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아들도 말 태워 놓으면 사촌 된다 → 아들
북한어 [같은 속담] 아들은 말 태워 놓으면 사촌 되고 딸은 시집보내면 륙촌 된다.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한 아들에 열 며느리 → 한1
1.
구 부모들이 흔히 아들이 여러 첩을 거느리는 것을 말리지 아니할 때 쓰는 말.
2.
구 아들이 첩을 여럿 얻어도 그 며느리들이 밉지 아니하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그 아버지에 그 아들 → 그1
구 아들이 여러 면에서 아버지를 닮았을 경우를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가난이 소 아들이라 → 가난1
구 소처럼 죽도록 일해도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여든에 낳은 아들인가 → 여든
구 자기 아이를 지나치게 귀여워함을 비꼬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막내아들이 첫아들이라 → 막내아들
1.
구 무엇이든지 맨 나중 것이 가장 소중히 여겨진다는 말.
2.
구 단 하나밖에 없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동네마다 후레아들 하나씩 있다 → 동네
1.
구 사람이 모여 사는 곳에는 반드시 악한 사람도 섞여 있기 마련이라는 말.
2.
구 많은 것 가운데는 좋은 것도 있지만 나쁜 것도 있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가난이 소 아들만도[아들보다] 못하다 → 가난1
북한어 가난하여 받는 천대와 멸시는 소 새끼들의 처지보다도 못하다는 뜻으로, 가난한 처지나 신세를 한탄하여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남의 열 아들 부럽지 않다 → 남1
구 자기 자식이 남이 아들을 많이 둔 것에 못지않거나 그보다 낫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낳은 아이 아들 아니면 딸이지 → 낳다1
구 둘 가운데에 하나라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배 안의 아이 아들 아니면 딸이다 → 배1
구 쓸데없는 걱정을 하는 경우를 핀잔하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천둥 우는 날에 낳은 아들이냐 → 천둥
북한어 몹시 부산하게 구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기른 개가 아들 불알 잘라 먹는다 → 기르다
구 은혜를 베푼 사람으로부터 큰 화를 입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무던한 며느리 아들 맞잡이 → 무던
북한어 무던한 며느리는 제가 낳은 아들이나 다름없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그 애비에 그 아들 그 남편에 그 녀편네 → 그1
북한어 아들이 못된 제 아비를 닮고 아내가 제 남편을 닮아서 못된 짓을 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형 미칠 아우 없고 아비 미칠 아들 없다 → 형1
구 아우가 아무리 잘났어도 형만 못하고 아들이 아무리 잘났어도 아비만 못하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아비 아들 범벅 금 그어 먹어라 → 아비1
구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한계를 분명히 해야 함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재롱받이 아들 손자쯤으로 보듯 → 재롱받이
북한어 누구를 몹시 사랑하고 귀여워함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딸 손자는 가을볕에 놀리고 아들 손자는 봄볕에 놀린다 → 딸1
구 딸 손자를 아들 손자보다 더 귀엽게 여긴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아들 못난 건 제집만 망하고 딸 못난 건 양 사돈이 망한다 → 아들
구 여자가 못되어 먹으면 친가와 시가가 모두 망하게 된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팔자가 사나우니까 의붓아들이 삼 년 맏이라 → 팔자1
구 닥친 일이 여의치 못함을 탄식하여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아들은 말 태워 놓으면 사촌 되고 딸은 시집보내면 륙촌 된다 → 아들
북한어 딸과 아들을 혼인시키고 나면 관계가 멀어진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내 발등의 불을 꺼야 아비[아들] 발등의 불을 끈다 → 내11
급할 때에는 다른 사람의 일보다도 자기에게 닥친 위험이나 바쁜 일부터 막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아버지는 아들이 잘났다고 하면 기뻐하고 형은 아우가 더 낫다고 하면 노한다 → 아버지
구 형제간의 우애가 부모의 사랑을 따를 수 없음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영감님 주머니 돈은 내 돈이요 아들 주머니 돈은 사돈네 돈이다 → 영감님
구 남편이 버는 돈은 마음대로 할 수 있지만 아들이 버는 돈은 며느리가 주관하므로 어찌할 수 없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영감 밥은 누워 먹고 아들 밥은 앉아 먹고 딸의 밥은 서서 먹는다 → 영감1
남편 덕에 먹고사는 것이 가장 편하고, 아들의 부양을 받는 것은 그보다 편하지 않으며, 시집간 딸의 집에 붙어사는 것은 어렵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그 아버지에〔아비에〕 그 아들 → 그1
아들이 여러 면에서 아버지를 닮았을 경우를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어린 아들 굿에 간 어미 기다리듯 → 어리다2
굿에 간 어머니가 떡을 가지고 돌아오기를 어린아이가 기다리듯 한다는 뜻으로, 매우 간절히 기다리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굿에 간 어미 기다리듯 한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일 잘하는 아들 낳지 말고 말 잘하는 아들 낳아라 → 일1
사람이 말을 잘하면 처세하기에 퍽 유리하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불도 켤 데 켜야 아들도 낳고 딸도 낳는다 → 불1
무슨 일이나 방법을 바로 알고 하지 않으면 헛수고만 하게 된다는 말. (=절도 할 데다 해야 아들도 낳고 딸도 낳는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절도 할 데다 해야 아들도 낳고 딸도 낳는다 → 절2
무슨 일이나 방법을 바로 알고 하지 않으면 헛수고만 하게 된다는 말. (=불도 켤 데 켜야 아들도 낳고 딸도 낳는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영감 밥은 누워 먹고 아들 밥은 앉아 먹고 딸 밥은 서서 먹는다 → 영감1
남편 덕에 먹고사는 것이 가장 편하며 아들 부양을 받는 것도 견딜 만하나 딸의 집에 빌붙어 먹는 것은 어렵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남편 밥은 누워 먹고 아들 밥은 앉아 먹고 딸 밥은 서서 먹는다 → 남편1
남편을 의지해 살 때는 편안한 마음으로 살고, 아들에게 의지해 살 때에는 남편보다는 부담스러우며, 딸에 의지해 살 때에는 밥도 편안히 못 먹을 정도로 불편하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그 어머니에 그 아들[딸]
아들딸의 재능이나 행실이 자기 어머니를 닮았을 경우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속담 아들네 집 가 밥 먹고 딸네 집 가 물 마신다 → 아들
구 흔히 딸 살림살이를 더 아끼고 위하여 주는 부모의 심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과 관련된 속담,관용구 (0) | 2022.02.11 |
---|---|
모양과 관련된 속담, 관용구 (0) | 2022.02.11 |
연기와 관련된 속담 (0) | 2022.02.11 |
술과 관련된 속담,관용구 (0) | 2022.02.11 |
친구와 관련된 말 (0) | 2022.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