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바로 쓰기

모양과 관련된 속담, 관용구

by 토토의 일기 2022. 2. 11.
반응형









관용구 요 모양 요 꼴 → 요3
구 좋지 않은 처지나 형편.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모양(을) 차리다 → 모양2
1.
구 꾸미어 맵시를 내다.

2.
구 일정한 격식이나 형식을 갖추다.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모양(이) 있다 → 모양2
구 보기에 좋다.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모양(이) 아니다 → 모양2
구 모양이 안되어서 차마 볼 수가 없다.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모양(이) 사납다 → 모양2
구 보기에 아주 흉하다.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치질 앓는 고양이 모양 같다 → 치질1
구 보기에 매우 초라하거나 거북하고 곤란한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죽은 자식의 귀 모양 좋다 하지 말라 → 죽다1
구 이미 잃어버렸거나 다 틀어진 일을 놓고 자랑하여 보았자 아무런 소용이 없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선불 맞은 노루[날짐승] 모양 → 선불1
구 선불을 맞아 혼이 난 노루나 날짐승처럼 당황하여 마구 날뛰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소대성이 모양으로 잠만 자나 → 소대성
구 잠이 많은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나그네 얼굴 보아 가며 바가지로 밥을 주고 주인 모양 보아 가며 손으로 밥 주어 먹는다 → 나그네
북한어 상대편이 자기에게 어떻게 대하는가를 살피고 거기에 맞추어 행동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모양이 개잘량이라 → 모양1
체면과 명예를 완전히 잃었음을 가리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똥구멍 찔린 소 모양 → 똥구멍
어쩔 줄 모르고 참지 못하여 쩔쩔매는 모양을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칠월 열쭝이 모양(이다) → 칠월
칠월 녹음(綠陰) 속에서 한창 재잘거리는 어린 새 같다는 뜻으로, 말이 많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툇마루 기둥에 걸린 종자 수수 모양 → 툇마루
별로 대수롭지 않게 보아 넘기는 것을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관용구 한라산 토끼 모양 → 한라산
놀라서 눈이 동그래진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떡과 관련된 속담,관용구  (0) 2022.02.11
사랑과 관련된 속담,관용구  (0) 2022.02.11
아들 관련된 속담,관용구  (0) 2022.02.11
연기와 관련된 속담  (0) 2022.02.11
술과 관련된 속담,관용구  (0) 2022.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