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바로 쓰기

사자성어 모음

by 토토의 일기 2022. 2. 11.
반응형





九曲肝腸 (구곡간장)
굽이굽이 서린 창자라는 뜻으로, 깊은 마음속 또는 시름이 쌓인 마음속을 비유함

輾轉反側 (전전반측)
이리 뒤척 저리 뒤척 한다는 뜻으로, 원래는 미인을 사모하여 잠을 이루지 못함

寤寐不忘 (오매불망)
자나깨나 잊지 못함

比翼鳥 (비익조)
짝을 짓지 않으면 날지 못한다는 새로, 남녀사이 혹은 부부애가 두터움을 이르는 말

落花流水 (낙화유수)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남녀 간 서로 그리워하는 애틋한 정

管鮑之交(관포지교)
옛날 중국의 관중과 포숙처럼 친구 사이가 다정함을 이르는 말, 매우 다정하고 허물없는 친구사이

伯牙絶絃 (백아절현)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어 버렸다는 뜻으로, 자기를 알아주는 절친한 벗의 죽음을 슬퍼함을 이르는 말

金蘭之交 (금란지교)
단단하기가 황금과 같고 아름답기가 난초 향기와 같은 사귐이라는 뜻으로, 우정이 깊은 사귐을 이르는 말

莫逆之友 (막역지우)
마음이 맞아 서로 거스르는 일이 없는,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친밀한 벗

肝膽相照 (간담상조)
'간과 쓸개를 내놓고 서로에게 내보인다'라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히 사귐

文房四友 (문방사우)
서재에 꼭 있어야 할 네 벗, 즉 종이, 붓, 벼루, 먹을 말함

讀書三昧 (독서삼매)
아무 생각 없이 오직 책 읽기에만 골몰하고 있는 상태

晝耕夜讀 (주경야독)
낮에는 농사짓고 밤에는 공부한다는 뜻으로, 바쁜 틈을 타서 어렵게 공부함을 이르는 말

韋編三絶 (위편삼절)
한 권의 책을 몇 십 번이나 되풀이 해서 읽음을 비유하는 말로 쓰임

多聞多讀多商量 (다문다독다상량)
많이 듣고, 많이 읽으며, 많이 생각한다는 뜻으로, 중국의 구양수가 글을 잘 짓는 비결로서 이른 말

他山之石 (타산지석)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이라도 자기의 지덕을 닦는 데 도움이 됨을 비유해 이르는 말

溫故知新 (온고지신)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螢雪之功 (형설지공)
가난을 이겨내며 반딧불과 눈빛으로 글을 읽어가며 고생 속에서 공부하여 이룬 공을 일컫는 말

刮目相對 (괄목상대)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며 상대를 대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학식이나 업적이 크게 진보한 것을 말함

曲學阿世 (곡학아세)
학문을 굽히어 세상에 아첨한다는 뜻으로, 정도를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에게 아첨함을 이르는 말

登龍門 (등용문)
용문에 오른다는 뜻으로, 출세의 관문을 이르는 말

大器晩成 (대기만성)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크게 될 인물은 오랜 공적을 쌓아 늦게 이루어짐을 이름

錦衣還鄕 (금의환향)
비단옷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하여 고향에 돌아옴을 이르는 말

磨斧爲針 (마부위침)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끊임없는 노력과 끈기 있는 인내로 성공하고야 만다는 뜻

立身揚名 (입신양명)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출세하여 이름을 세상에 드날림

風樹之歎 (풍수지탄)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려고 생각할 때에는 이미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 없음을 이르는 말

反哺之孝 (반포지효)
까마귀 새끼가 자란 뒤에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성이라는 뜻

昏定晨省 (혼정신성)
자식이 아침저녁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서 살핌을 이르는 말

樹欲靜而風不止 (수욕정이풍부지)
자식이 부모님을 공양하고 싶어도 부모님이 별세하여 세상에 계시지 않음

孝子愛日 (효자애일)
될 수 있는 한 오래 부모에게 효성을 다하여 섬기고자 하는 마음을 이름

苦盡甘來 (고진감래)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낙이 온다라는 말

狐假虎威 (호가호위)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호기를 부린다는 뜻으로, 남의 세력을 빌어 위세를 부림

結者解之 (결자해지)
일을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일을 저지른 사람이 그 일을 해결해야 한다는 말

螳螂拒轍 (당랑거철)
사마귀가 수레바퀴를 막는다는 뜻으로, 자기의 힘은 헤아리지 않고 강자에게 함부로 덤빔

牛耳讀經 (우이독경)
쇠귀에 경 읽기란 뜻으로, 우둔한 사람은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人間大事 (인간대사)
인간의 일생 중 중대한 일. 곧 결혼과 장례를 이름

左脯右醯 (좌포우혜)
제사의 제물을 진설할 때,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차리는 격식

棗栗梨枾 (조율이시)
제사의 제물을 진설할 때, 동편에서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으로 놓으며 그 외의 과일은 순서가 없음

男左女右 (남좌여우)
음양설에, 왼쪽이 양이고 오른쪽은 음이라 하여, 남자는 왼쪽이 중하고, 여자는 오른쪽이 중하다는 말

謹賀新年 (근하신년)
삼가 새해를 축하한다는 인사말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장 총칙 제1항  (0) 2022.02.12
사자성어 모음 2  (0) 2022.02.11
고유어 단어 모음  (0) 2022.02.11
거방지다의 뜻  (0) 2022.02.11
떡과 관련된 속담,관용구  (0) 2022.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