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바로 쓰기

자녀 배우자(며느리, 사위)의 삼촌 항렬 호칭, 지칭

by 토토의 일기 2022. 3. 18.
반응형




내가 아버지일 때 자녀 배우자의 삼촌, 외삼촌을 부르는 말은 '사돈어른', '사돈'이다. 당사자에게 지칭할 때는 호칭과 마찬가지로 '사돈어른', '사돈'이라고 가리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자녀 배우자의 삼촌, 외삼촌을 자기 쪽 사람에게는 '사돈'으로, 사돈 쪽 사람에게는 '사돈어른', '사돈'이라고 지칭한다.

내가 아버지일 때 자녀 배우자의 고모, 이모를 부르는 말은 '사부인'이다. 자녀 배우자의 고모, 이모를 당사자, 자기 쪽 사람, 사돈 쪽 사람에게 지칭하는 말도 모두 '사부인'이다.

내가 어머니일 때 자녀 배우자의 삼촌, 외삼촌을 부르는 말은 '사돈어른'이지만 '사돈어른'이라고 부르기 어려운 경우 '밭사돈'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자녀 배우자의 삼촌 항렬을 그 당사자에게 지칭할 때는 호칭을 그대로 사용한다. 자녀 배우자의 삼촌, 외삼촌을 가리켜 자기 쪽 사람, 사돈 쪽 사람에게 '사돈어른'이라고 한다.

내가 어머니일 때 자녀 배우자의 고모, 이모를 '사부인', '사돈'이라 부른다. 당사자에게 지칭할 때도 호칭을 그대로 사용한다. 자녀 배우자의 고모, 이모를 자 기 쪽 사람, 사돈 쪽 사람에게 지칭하는 말은 '사부인'이다.

자녀 배우자의 삼촌 항렬을 자기 쪽 사람, 사돈 쪽 사람에게 가리킬 때에는 손주, 외손주에 기대어 '○○(외손주) 큰할아버지' '○○(손주) 작은외할아버지', '○○(외손주) 고모할머니' '○○(손주) 이모할머니' 등과 같은 관계말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언어예절





🔶️ 사돈 査頓
혼인한 두 집안의 부모들 사이 또는 그 집안의 같은 항렬이 되는 사람들 사이에 서로 상대편을 이르는 말.

🔶️밭사돈 밭査頓 (=바깥사돈)
딸의 시아버지나 며느리의 친정아버지를 양쪽 사돈집에서 서로 이르거나 부르는 말.

🔶️안사돈 안査頓
딸의 시어머니나 며느리의 친정어머니를 양편 사돈집에서 서로 이르거나 부르는 말.

🔶️사장 査丈(높임말: 사장어른)
 혼인한 두 집안의 부모들 사이에서 그 집안의 위 항렬이 되는 상대편을 이르는 말.

🔶️ 사장어른 査丈어른
자녀 배우자의 조부모나 동기(同氣) 배우자의 부모를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

🔶️ 노사장어른 老査丈어른
자녀 배우자의 증조부모를 높여 이르는 말.

🔶️ 사돈어른 査頓어른
주로 ‘바깥사돈’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

🔶️ 사부인 査夫人
 ‘안사돈’의 높임말.(=사돈댁)

🔶️ 사가 査家
서로 사돈이 되는 집.

🔶️ 사돈총각 査頓總角
사돈집의 미혼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 사돈도령 査頓도령
‘사돈총각’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

🔶️ 사돈처녀 査頓處女
사돈집의 미혼 여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 사돈아가씨 査頓아가씨
‘사돈처녀’를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