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47항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예는 다음과 같다.
🌿 범례
보조용언 / 원칙 / 허용
📍가다(진행 보조용언)
/ 늙어✔간다, 되어✔간다(원칙)/
늙어간다, 되어간다(허용)
📍가지다(보유 보조용언)/
알아✔가지고(원칙)/
알아가지고(허용)
📍내다(종결 보조용언) /
이겨✔낸다,참아✔냈다 (원칙)/
이겨낸다, 참아냈다(허용)
📍놓다(보유 보조용언) /
열어✔놓다, 적어✔놓다(원칙) /
열어놓다, 적어놓다(허용)
📍대다(강세 보조용언) /
떠들어✔댄다(원칙) /
떠들어댄다(허용)
📍 두다(보유 보조용언) /
알아✔둔다, 기억해✔둔다(원칙) /
알아둔다, 기억해둔다 (허용)
📍드리다(봉사 보조용언) /
읽어✔드린다(원칙) /
읽어드린다(허용)
📍 버리다(종결 보조용언) /
놓쳐✔버렸다(원칙) /
놓쳐버렸다(허용)
📍 보다(시행 보조용언) /
뛰어✔본다, 써✔본다(원칙) /
뛰어본다, 써본다(허용)
📍 쌓다(강세 보조용언) /
울어✔쌓는다(원칙) /
울어쌓는다 (허용)
📍 오다(진행 보조용언) /
참아✔온다, 견뎌✔온다(원칙) /
참아온다, 견뎌온다(허용)
즉 '늙어✔간다'로 써도 되고 '늙어간다'로 써도 된다는 뜻
![](https://blog.kakaocdn.net/dn/bDKsBB/btsq2lcut6h/EXLQCSOgcIKFGU321vgRa0/img.jpg)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편을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 높여야 합니까, 낮춰야 합니까? (0) | 2023.08.13 |
---|---|
장마 관련 속담, 관용구 (0) | 2023.07.15 |
비 관련 속담 관용구 (0) | 2023.07.14 |
그럼 내일 뵈요. / 그럼 내일 봬요 (0) | 2023.07.14 |
<우리말겨루기>🌷 951회/시청자문제 (물을 부워/부어) 정답은? (2023년 3월 20일 방송) (0) |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