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수, 갯수 중 맞춤법에 맞는 말은?
답) 개수(個數)
<한글 맞춤법> 제30항 3. 사이시옷 규정에 의하면,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이 6개 한자어에는 붙여 쓴다고 했다.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관련 규정: '한글 맞춤법' 제4장, 제4절, 제30항.)
‘個數’는 이에 속하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고, ‘개수’로 쓴다.
그 외의 한자끼리의 합성어도 이에 준하여 판단하시면 된다. 이 6단어 외에는 붙이지 않는다는 걸 기억하시면 된다.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겆이, 설거지 중 맞는 표기는? (0) | 2022.01.13 |
---|---|
맑게 개인 하늘, 맑게 갠 하늘/날이 개다, 날이 개이다 (0) | 2022.01.12 |
우리말 겨루기 892회 문제 풀이(2022.1.10 방송) (0) | 2022.01.10 |
우리말 겨루기 892회 띄어쓰기 문제 풀이 및 정답 (0) | 2022.01.10 |
우리말 겨루기 892회 시청자 퀴즈 정답 (0) | 2022.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