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글맞춤법 제4장 제2절
제16항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에는 어미를 ‘- 아’로 적고, 그 밖의 모음일 때에는 ‘- 어’로 적는다.
1. ‘-아’로 적는 경우

2. ‘-어’로 적는 경우

해설
국어에서는 어간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ㅑ, ㅗ’일 때는 ‘-아’ 계열의 어미가 결합하고, ‘ㅐ, ㅓ, ㅔ, ㅕ, ㅚ, ㅜ, ㅟ, ㅡ, ㅢ, ㅣ’ 등일 때는 ‘-어’ 계열의 어미가 결합한다. 이처럼 어간의 모음에 따라 어미의 모음이 결정되는 것을 모음 조화(母音調和)라고 한다. 다음은 ‘-아’ 계열과 ‘-어’ 계열의 어미가 결합하는 양상을 보인 것이다.
📍모음조화의 예

제17항 어미 뒤에 덧붙는 조사 ‘요’는 ‘요’로 적는다.

해설
‘요’는 주로 문장을 종결하는 어미 뒤에 붙어서 청자에게 높임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가-요
가리-요
가지-요
갈까-요
체언이나 부사어, 연결 어미 등 뒤에 결합하여 청자에게 높임의 뜻을 나타낼 수도 있다.
날씨는요 더없이 좋아요.
어서요 조금만 드셔 보세요.
‘참으리요’는 ‘참으리’에 ‘요’가 결합한 말이다. ‘-으리’는 주로 혼잣말로 자신의 의향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그런데 여기에 ‘요’가 결합하면 청자에게 자신의 의도를 드러내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이제 고향에 돌아가리요.
우리는 이곳을 지키리요.
한편 ‘참으리오’는 ‘참-’에 ‘-으리오’가 결합한 말이다. ‘-으리오’는 주로 혼잣말에 쓰이며, 미루어 판단하건대 어찌 그러할 것이냐고 반문하는 뜻을 나타낸다.
가는 세월을 어찌 막으리오.
모두 행복하다면 얼마나 좋으리오.
반응형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맞춤법 제4장 제3절 제19항 분문 및 해설 (0) | 2022.02.12 |
---|---|
한글맞춤법 제4장 제2절 제18항 불규칙용언 (0) | 2022.02.12 |
한글맞춤법 제4장 제2절 어간과 어미 (0) | 2022.02.12 |
한글맞춤법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0) | 2022.02.12 |
한글맞춤법 제3장 제6절 제13항 (0) | 2022.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