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며느리나 사위를 부르는 말
1) 며느리를 부르는 말은 '(새) 아가', 사위를 부르는 말은 'ㅇ 서방'을 기본으로 한다.
2) 손주가 생기면 'ㅇㅇ(손주 이름) 아범/아빠', 'ㅇㅇ(손주 이름) 어멈/엄마'로 부를 수 있다.
3) 요즘은 자신의 자녀를 부를 때처럼 며느리나 사위를 이름으로 직접 부르는 가정도 많다.이럴 경우 정답고 친근한 표현이 되어야지 며느리나 사위를 무시하는 느낌을 주어서는 곤란하다.
4) 나의 자녀에게 "아들, 밥 먹었니?" 또는 "딸, 오늘 약속 있어?"와 같이 표현할 수 있는 것처럼, 며느리나 사위도 이르는 말인 '며느리'나 '사위'를 부르는 말로 사용할 수 있는데, 며느리나 사위가 여럿일 때는 서열을 따져 '첫째야', '막내야'와 같이 다정하게 부를 수도 있다.
2. 며느리나 사위를 이르는 말
1) 며느리나 사위를 이르는 말도 부르는 말과 다르지 않다. 며느리는 '(새) 아가', '(우리) 며느리', 사위는 'ㅇ 서방', '(우리) 사위'와 같이 가리킬 수 있고 며느리와 사위의 이름으로 직접 이르는 것도 가능하다.
2) 자녀의 이름을 넣어 '00(자녀 이름) 아내', '00(자녀 이름) 남편'으로 이르거나 손주의 이름을 넣어 '00(손주 이름) 아범/아빠', '00(손주 이름) 어멈/엄마'로 이를 수도 있다.
3) 다른 가족에게 가리켜야 할 경우 가족과 사위 간의 관계에 기대어 이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손주에게 "아빠는 뭐 하시니?", "아빠한테 전해라."처럼 말할 수 있다.

출처 국립국어원 <배려와 소통의 호칭과 지칭 '우리, 뭐라고 부를까요?'>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제자매를 부르거나 이르는 말 (0) | 2022.04.12 |
---|---|
아내의 부모님을 '장인', '장모'라 지칭했다가 아내와 싸웠다. 올바른 지칭은? (0) | 2022.04.12 |
배우자의 부모를 부르거나 이르는 말 (0) | 2022.04.12 |
자기 남편을 '우리 교수님', 자기 아내를 '우리 부인'? (0) | 2022.04.12 |
다른 사람에게 배우자를 이르는 말 (0) | 2022.04.12 |